라미 기사
자체 로컬 LLM을 만들고 있는데 이미 7B(70억 개의 파라미터)를 갖춘 모델을 만들었고 이어서 14B(140억 개의 파라미터)를 만들고 있어요.
[한국어 특화 LLM]
현재는 한국어를 말하기 위해 너무나 큰 모델을 사용하는데 지나치게 비싸고 복잡하죠.
한국어 특화용 모델을 만들면, 적은 비용으로 llm을 자체적으로 운영 할 수 있게 됩니다!
챗봇서비스인 라미챗에 해당 llm을 시범 도입해 사용할 예정이에요.
한국어 특화 LLM이 성공적으로 운영된다면, 많은 기업들이 비용 부담 없이 AI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거에요!